연금에는 적격연금과 비적격연금이 있습니다.
적격연금은 세액공제를 받는 연금으로,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으로 나뉩니다.
적격연금
● 가입조건 : 종합소득금액 4000이하. 근로소득만 있으면 5500만원 이하. 국내 거주자 가입
● 연금개시나이 : 55세
● 분리과세 선택 : 연 1,200만원 이하
● 연금수령요건 미충족시 : 기타소득세 15%
● 연금소득세 : 70세미만 5% / 80세미만 4% / 80세이상 3% / 종신연금형은 Min(나이기준, 4%)
● 퇴직소득의 연금수령 : 퇴직소득 원천징수 세율의 60~70%
1. 공적연금
1. 종류 :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2. 납입시 소득공제 : 납입액 전액, 최대 900만원까지
3. 수령시 종합소득세 과세
● 연금소득과세표준 = 총연금액 - 연금소득공제 - 각종소득공제(인적, 표준세액공제 등)
● 간이세액표에 의해 원천징수 후 다음 년도 1월에 연말정산
● 유족연금, 장해연금, 산재보험연금은 비과세
2. 사적연금(연금계좌)
1. 납입시 세액공제요건
계약자 : 근로소득,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로 연금저축 가입자
납입요건 : 연간 1,800만원 이내, 연금수령개시 이후 추가 납입 불가
인출시기 : 55세 이후 연금수령 개시 후, 가입일로부터 5년 경과 후
인출한도 : 연금수령 한도 이내(의료목적, 천재지변 등 부득이한 사유는 인출한도에 미포함)
2. 종류 : 연금저축계좌, 퇴직연금계좌
1) 연금저축계좌
(1) 종류 : 연금저축신탁(은행), 연금저축펀드(자산운용사), 연금저축보험(연금보험제외)
(2) 납입시 세액공제
연간 600만원 한도. 납입연도 전환특례제도
● 근로자
총 급여 5,500만원 이하 : 공제한도 연간 최대 600만원, 공제율 15%
총 급여 1억2천만원 이하 : 공제한도 연간 최대 600만원, 공제율 12%
총 급여 1억2천만원 초과 : 공제한도 연간 최대 300만원, 공제율 12%
● 종합소득자
종합소득금액 4,000만원 이하 : 공제한도 연간 최대 600만원, 공제율 15%
종합소득금액 1억 이하 : 공제한도 연간 최대 600만원, 공제율 12%
종합소득금액 1억 초과 : 공제한도 연간 최대 300만원, 공제율 12%
2) 퇴직연금계좌
(1) 종류 : 확정기여형(DC), IRP. (DB제외)
(2) 납입시 세액공제 : 연금저축 합산 연간 900만원 한도. 퇴직연금만으로도 900만원 공제 가능
1억2천만원 초과 근로자, 1억 초과 종합소득자 : 연금저축 300만원, 합산 700만원 한도
* 퇴직연금의 종류 :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개인형 퇴직연금제도(IRP)
2. 수령시 연금소득공제
연금보험, 확정급여형 퇴직연금(DB)은 연금소득에 해당되지 않음
● 소득공제 한도 : 최대 900만원
● 350만원 이하 : 전액
● 700만원 이하 : 350만원 + 초과분의 40%
● 1400만원 이하 : 490만원 + 초과분의 20%
● 1400만원 이상 : 630만 + 초과분의 10%
3. 수령시 분리과세
● 사적연금 1200만원 초과 : 연금저축, 퇴직연금 합산. 사적, 공적 모두 종합과세
● 사적연금 1200만원 이하 : 종합과세와 연금소득세 분리과세 중 선택
● 공적연금+사적연금 1200 이하 : 사적연금만 분리과세 + 공적연금 종합과세
● 분리과세 기간별 세율 : 5% < 70세 < 4% < 80세 < 3%
● 종신연금 수령시 : 4%. 기간별 세율과 중복시, 낮은 세율 적용
● 해지, 연금 외 형태로 수령시 : 기타소득세 15%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보건 뉴스 : 2024.2.19 (0) | 2024.02.19 |
---|---|
비적격연금: 연금보험 수익률과 국민연금 연계 연금설계 (0) | 2024.01.30 |
법인 운영팁2: 미처분 이익 잉여금 과다는 세금폭탄 (1) | 2024.01.29 |
유태인 부의 축적과 대물림 따라하기: 선취 자산, 복리 자산, 비과세 자산, 성공확률 100% 투자 자산 (0) | 2024.01.27 |
소득공제, 기부 증여, 연말정산, 주택 구입 시 실용적 절세 전략 (0)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