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surance/생활

비적격연금: 연금보험 수익률과 국민연금 연계 연금설계

by 메디미디어 2024. 1. 30.

비적격연금은 이자소득세 비과세 연금으로 연금보험(정액연금, 변액연금)이 있습니다.

 

 

1. 연금보험

 연금개시나이 : 45세

은퇴 후 국민연금 수령 기간까지 소득공백 시 수령하는 것으로 계획을 잡습니다.

 보험료 납입시 세제혜택 없음
 보험금 수령시 보험차익(이자소득) 비과세

 중도인출기능으로 유동성확보 가능하며, 해지는 사업비로 인해 손해가 납니다

 

1. 저축성보험 비과세 요건

순수보장성보험은 저축성보험에서 제외 : 55세 이후 종신형연금보험은 모두 비과세

 5년 이상 납입. 계약기간 10년 이상

 일시납 : 1억원 이상 납입
 월적립식 : 기본보험료 균등, 선납 6개월 이내, 150만원/월 이상 납입, 증액 1배

2. 수익률효과(비과세) 비교

예시) 납입 : 50세. 월 50만원 10년납 / 수령 : 월 300,000원 (연 3,600,000원)

 

1) 연금저축

 적립금 : 66,478,174원
 수령월수 : 257개월 (소진시까지)

 총수령액 : 77,100,000원

 

2) 연금보험

 적립금 : 63,940,000 

 수령월수 : 456개월 (100세보증형)

 총수령액 : 136,800,000원


 연금보험은 보장기간이 길다 VS 연금저축은 소진되면 끝납니다.
 장수 Risk헷징은 모으기보다 쓰기에 초점을 맞춰야 하므로 사망까지 안정적 지급이 중요합니다.
 최저보증이율 적용시도 연금보험이 유리합니다.
 연금저축 적립금으로 즉시연금 가입할 경우 : 가입시의 경험생명표 적용. 기대수명이 늘어나는 만큼 경험생명표 효율이 떨어지므로 연금액이 줄어듭니다.

 조기 장기투자할수록 연금 수령액이 늘어납니다.

 

2. 연금설계

1. 5층연금구조 : 200만원 예시

 소득 : 50만원 (월급 50만원은 예금 6억원과 같습니다.)
 주택연금 : 50만원 (2억원 기준)
 개인연금 : 20만원 (연금보험, 연금저축)
 퇴직연금 : 20만원 (기업보장). 월 급여의 8.3% 적립. IRP는 이직이 잦은 근로자 유리
 국민연금 : 60만원 (국가보장). 월 급여의 9% 적립

 

2. 국민연금

1) 2028년까지 소득대체율 40% (소득대체율 : 현재. 은퇴전 소득금액의 60%~70%)

    추후납입 : 10년 이상 납입해야 수령할 수있습니다.

    월평균소득 300만원, 30년 국민연금 납입시 : 약 88만원/월 수령합니다.

 

2) 수령기간 : ~ 95세
~52년생 : 60세 수령
~56년생 : 61세 수령
~69년생 : 62세 수령
~64년생 : 63세 수령
~68년생 : 64세 수령
~69년생 : 65세 수령

 

조기노령연금제도 : 최대 5년 일찍 수령 가능
연기연금제도 : 최대 5년 늦게 수령 가능. 7.2%/연 더 받습니다.

맞벌이 부부인 경우 : 와이프가 조금 늦게 수령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득이 낮은 배우자 중심으로 설계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3. 가교연금

65세에서 70세로 연기 수령시 가교연금이 필요합니다.
퇴직연금(55세 이후, 10년 이상 수령), 또는개인연금을 가교연금으로 활용합니다.
생활비선지급종신보험 활용합니다. : 저해지상품이 유리합니다.

* 개인연금
세제적격(소득공제) :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보험
세제비적격(비과세) : 개인연금보험, 변액연금보험, 변액유니버셜

 

* 통합연금포탈 : 100lifeplan.fss.or.kr
* 국민연금 월액표 : 국민연금 관리공단

 

비과세종합저축

대상 : 65세 이상, 장애인, 독립유공자

한도 : 5,0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