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isk/ESG,경영

법인 운영 팁1; 정관 정비

by 메디미디어 2024. 1. 28.

법인 정관이란, 법인의 목적, 조직, 업무 집행 따위에 관한 근본 규칙 또는 그것을 적은 문서입니다.

 

•정관 검토가 제규정 정비의 출발점 (법인플랜 실행을 위한 제반 정관규정 정비 필수)
•중점 검토항목 : 임원의 보수, 퇴직금 및 유족보상금 규정 등
•그 외 사항 : 자사주취득, 주식소각, 주식양도제한, 이사책임감면, 중간배당 등

 

정관

 

일반적으로 법인설립 시 기재가 없으면 정관이 무효 및 설립무효의 원인이 되는 절대적 기재사항 위주로 표준정관을 만들게 됩니다.

절대적 기재사항 위주의 표준정관에 대해서 상대적 / 임의적 기재사항을 고려하여 법인 운영에 유익한 규정을 정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절대적 기재사항

기재가 없으면 정관이 무효 및 설립무효의 원인이 되는 기재사항

 

•상호, 사업목적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1주의 금액
•설립 시 발행한 주식의 총수
•본점 소재지, 회사공고방법
•발기인의 성명/주민번호/주소


2. 상대적 기재사항

상법에 법규정이 있고 이를 정관에 기재하여야 효력이 있는 경우

 

•중간배당과 현물배당 규정

법인자금 및 개인 상황에 맞게 배당시기 조절
현금과 주식외 비화폐성 자산으로 배당 가능

주총승인 및 정관 명시 규정

 

•이사의 책임감면 규정

이사의 책임감면에 대해 적용

주총승인 및 정관 명시 규정

 

•주식 양도 시 이사회 승인 규정

차명주식 또는 동업청산 등에 대한 경영권 방어 예방적 차원 규제

주총승인 및 정관 명시 규정 (법인등기부등본 등기사항)

 

•주식의 소각 규정

기업이 상법상 이익배당한도내에서 자기주식을  매수하여 소각

주총특별결의 및 등기사항


3. 임의적 기재사항

상법에 규정은 없으나 상관습을 포함한 제 사회 상규(강행법규)에 반하지 않는 규정으로 정관에 규정이 있으면 회사규 
범으로서 효력이 있는 사항

 

•임원 급여 및 상여금 규정

초과 지급에 대한 부당행위 부인 방지

주총 승인 사항 (정관, 등기사항 아님)

 

•임원 퇴직금 규정

최근 상법 및 세법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임원퇴직금 규정으로 변경 필요

주총 승인 사항 (정관, 등기사항 아님)

 

•임원의 업무상 사망위로금 규정

임원의 업무상 사고 발생시 적절한 보상 안 마련을 통해 유가족 생활 안정화, 상속세 재원 마련, 법인 경영 안정화

주총 승인 사항 (정관, 등기사항 아님)